정기 건강검진에서 항상 괜찮다고 나왔지만 최근 들어 자주 피곤하고, 어지러움도 생겨서 좀 더 정확하게 내 몸을 알고 싶었어요. 그래서 일반 혈액검사보다 더 상세한 혈액정밀검사(종합혈액분석)를 받게 됐는데요,
이 검사를 통해 전반적인 건강 상태는 물론 암표지자, 면역력, 간·신장 기능까지 한 번에 알 수 있어서 정말 유익했어요.
오늘은 혈액정밀검사에 대해 하나하나 살펴볼게요.
왜 혈액정밀검사를 받게 됐는지
평소 건강하다고 생각했지만 최근 피로감이 유독 심하고, 아침마다 어지럼증이나 무기력함이 느껴졌어요. 그냥 스트레스나 수면 부족 탓이려니 했지만 혹시 숨은 원인이 있을까 싶어병원을 찾게 됐는데요.
일반 혈액검진은 기본 수치만 나오고 면역세포, 염증 수치, 암표지자 등은 알 수 없어서 이번엔 혈액정밀검사 패키지로 진행하기로 했어요.
처음 받아보는 검사라 살짝 긴장됐지만 검사 전 의사 상담이 매우 친절해서 어떤 항목이 포함돼 있는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답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 이 검사는 단순 건강검진보다 훨씬 깊이 있는 검사라는 느낌이 강했어요!
검사 항목과 종류
🧬 혈액정밀검사 주요 항목 정리
항목 분류 | 검사 내용 |
---|---|
간기능 | AST, ALT, 감마GT, 빌리루빈 등 |
신장기능 | BUN, 크레아티닌, 전해질 |
면역/염증 | CRP, ESR, 백혈구 수치 |
지질/당대사 | HDL, LDL, 중성지방, 혈당, HbA1c |
비타민/미네랄 | 비타민D, 철분, 아연, 마그네슘 등 |
종양표지자 | AFP, CEA, CA19-9 등 주요 암 지표 |
검사 항목이 50가지가 넘는 경우도 있어서 컨디션 이상이 뭔지 원인을 찾아보는 데 정말 도움이 돼요. 특히 자가면역 질환이나 만성 피로 원인이 궁금한 분들께 추천해요!
검사 당일 진행 과정
검사는 아침 공복 상태에서 진행됐어요. 전날 밤 10시 이후 금식하고 물도 아침 7시까지만 마셨고요. 병원에 도착해서 간단한 문진표를 작성하고 혈압과 체온을 측정한 후 채혈실로 이동했어요.
채혈은 3~4개 튜브에 나눠서 진행됐는데, 워낙 항목이 많아서 혈액량도 꽤 들어갔어요. 하지만 간호사님이 잘 해주셔서 통증 없이 금방 끝났어요.
검사 후에는 비타민 주사 또는 피로회복제를 추가로 맞을 수 있다고 안내받았고, 저는 비타민D 수치가 낮을까 봐 주사도 맞았어요.
검사 시간은 대기 포함 약 20~30분 정도 소요됐고, 결과는 일주일 내로 문자를 통해 확인가능했습니다.
결과 해석과 느낀 점
일주일 후 검사 결과를 확인했는데 간 기능과 신장 기능은 정상이었지만 비타민D가 기준 이하, 철분 수치도 낮은 편이라고 나왔어요.
또한 CRP 수치가 살짝 높아서 만성 염증 상태일 수 있다는 설명을 들었고 식습관 개선과 운동, 수면관리가 필요하다는 권고를 받았어요.
암표지자는 전부 정상 범위였고 이 부분에서 정말 안심이 됐어요.
“내 몸 안을 이렇게 자세히 본 건 처음”이라서 정말 뿌듯하고 유익한 검사였습니다.기회가 된다면 1~2년에 한 번 정도는 혈액정밀검사를 받아서 내 몸 상태를 보다 세심하게 관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FAQ
Q1. 혈액정밀검사는 일반 혈액검사와 뭐가 다른가요?
A1. 정밀검사는 간·신장 기능 외에도 면역, 염증, 암표지자, 호르몬, 미네랄까지 광범위하게 검사해요.
Q2. 검사 전 금식은 필수인가요?
A2. 네. 대부분 항목이 공복 상태 기준이기 때문에 전날 밤 10시 이후 금식이 필요해요.
Q3. 검사 시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A3. 대기 포함 30분 이내로 끝나요. 채혈 후엔 바로 귀가 가능해요.
Q4. 검사 결과는 얼마나 걸리나요?
A4. 병원마다 다르지만 보통 5~7일 이내에 문자나 앱으로 결과가 나와요.
Q5. 결과 해석은 어렵지 않나요?
A5. 대부분 병원에서 항목별로 설명해 주고, 결과지에 정상범위도 같이 제공돼서 이해하기 쉬워요.
Q6. 보험 청구는 가능한가요?
A6. 증상에 따라 질병코드가 기입되면 일부 실비보험 청구가 가능해요. 병원에 문의해보세요.
Q7. 어디서 검사받을 수 있나요?
A7. 건강검진센터, 내과 병원, 기능의학 클리닉 등에서 가능하며 패키지 구성이 다양해요.
Q8. 정기적으로 받아야 하나요?
A8. 증상이 없더라도 1~2년에 한 번 정도 받아두면 만성 질환이나 조기 이상을 체크하는 데 좋아요.
* 본 포스팅은 단순한 참고용이므로, 정확한 사항은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하세요.